KC인증이란 말을 들어 본 적이 있나요? 이는 우리나라의 국가통합인증마크로 안전과 보건, 환경과 품질 등의 법정 강제 인증 제도를 단일화한 인증으로 여러 제품군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오늘은 이러한 KC인증과 관련된 정보를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KC인증이란

Korea Certification Mark 약자입니다. 기존의 5개 부처 지식경제부, 소방방재청, 노동부, 환경부, 방송통신위원회에서 각각 부여하고 있던 13개의 법정 인증마크를 통합하고 단일화한 국가통합인증마크입니다.
안전과 보건과 환경, 품질 등의 법정강제인증제도를 단일화한 인증으로 전기용품과 생활용품, 어린이 제품 세가지로 분류되고 이는 다시 또 안전 인증과 안전 확인제품 두가지로 나뉘어집니다.
KC인증이란 까다롭기도 하며 전문성을 요구하는 일이 많은 데다가 제조한 제품은 물론 수입한 제품도 인증을 받아야 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만약 인증을 받아야 할 물건이 인증을 받지 않은 채로 유통된다면 이는 큰 문제가 됩니다.
유럽연합에서는 안전과 환경 및 소비자 보호와 관련된 강제 인증으로 CE마크를, 일본에서는 전기제품과 공산품 등에 PS마크, 중국에서는 CCC제도 등으로 단일화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나라는 2009년 7월1일부터 KC인증 제도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법정 강제 인증 제도 라는 말 그대로 강제로 인증을 받아야만 합니다. 우리나라에서 정식 출시 하는 제품들은 반드시 받아야만 하는 마크이고 인증입니다.
여러분이 좀 싸게, 저렴하게 구입한 것이 있다면 혹시 모르니 한번 이 KC인증 마크가 있는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만약 없다면 우리나라에서 정식 출시된 것이 아니라는 이야기입니다. 물론 모든 제품군이 다 해당되는 것은 아닙니다. 전기 용품, 생활용품, 어린이 제품 세 가지입니다.
KC인증 마크가 필요한 제품은 약 730여 개 품목입니다.
현재는 대기업들은 중국, 동남아, 아프리카 등 인건비가 싼 지역에서 제품을 제조, 생산하고 이것을 다시 전세계로 수출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렇게 만들어진 제품들 뒷면에는 KC인증 마크는 물론 CE, PS 등 각국의 인증 마크가 찍혀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저는 CE마크를 많이 본 것 같은 느낌입니다.
13가지 법정 인증 마크
공산품 안전 인증, 공산품 자율 안전 확인, 어린이 보호 포장, 승강기 인증 마크, 전기안전 인증 마크, 고압 가스용품 안전 검사, 방송통신기기인증, 에너지 소비효율 등급, 정수기 품질 검사, 방호장치 및 보호구 안전 인증, 가스용품 검사, 계량기 검정, 소방용품 형식 승인
위의 13개 법정 인증마크를 통합해서 2009년 7월1일부터 단일화한 국가 통합 인증 마크, 법정 강제 인증 제도를 통합해서 KC인증이란 제도를 도입하게 된 것입니다.
KC마크 받아야만 하는 대상 품목
700종이 넘는 제품이므로 다 열거하기는 힘들지만 몇몇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전기용품
전선 및 전원코드 / 전기 기기용 스위치 / 전원 필터 / 전기 설비용 부속품 및 연결 부품 / 전기기기 / 전동공구 / 오디오 비디오 응용기기 / 정보기기 / 사무기기 / 조명기기 / 직류전원장치 또는 전기 충전기에 연결되어 사용하는 전기용품 등등
생활용품
가스라이터 / 킥보드 / 스포츠용 구명복 / 이륜자전거 / 헬스기구 / 사다리 / 롤러스케이트 /인라인 롤러스케이트 / 온열팩 / 방한용 패션용 스포츠용 마스크 / 인조속눈썹 / 쌍꺼풀용 테이프 / 스케이드보드 / 물놀이 기구 등등등
어린이 용품
완구 / 어린이 놀이기구 / 어린이 섬유제품 / 어린이용 스포츠보호용품 / 보행기 / 유모차 / 유아용 침대 / 유아용 캐리어 / 어린이용 자전거 / 유아용 의자 등등등
KC인증 조회방법
제품안전정보센터 홈페이지에서 바로 인증정보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안전관리 대상제품을 구입하기 전 먼저 안전인증제품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KC인증 방법
안전 인증 대상인 경우는 제품시험과 공장심사를 거쳐 안전인증서 발급된 후 판매 할 수 있습니다.
안전 확인 대상인 경우는 제품시험을 하고 안전 확인 신고 증명서를 발급받아 판매 할 수 있습니다.
공급자 적합성 확인대상 경우는 제품시험 후 KC마크를 달고 판매합니다.
안전기준 준수 대상인 경우는 제품시험 없이 판매합니다. 이에는 가정용 섬유제품 즉 의류와 침구류, 가죽제품 등 23개 제품이 해당됩니다.
품목별 시험방법은 국가에서 지정한 시험 기관이 약 15곳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는 한국기계전자시험 연구원,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한국건설생활환경연구원 등이 있습니다.
마무리
KC인증이란 앞서 살펴본 상표권 등록과 마찬가지로 일반 개인이 진행하기에는 시간과 비용이 너무 많이 들 수도 있고 실패할 확률도 높습니다. 이런 경우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서 시간을 아끼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