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금영수증 가맹점 가입 방법과 의무발행 업종

가게를 열 생각인가요? 스마트스토어 준비 중인가요? 여러가지 준비해야 할 것 중 하나인 현금영수증 가맹점 가입 방법과 의무발행 업종 해당되는지를 확인해 보세요. 우리나라의 세금 관련 법규에서는 현금영수증 의무 발행 업종이 정해져 있으며 조금씩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현금영수증 가맹점 가입 방법

현금영수증 가맹점 가입

우리나라의 세법으로는 현금을 10만원 이상 거래했을 경우 소비자가 요청하지 않아도 반드시 현금영수증을 발급해야 합니다. 이를 위반하게 되면 거래 대금의 20%에 해당되는 가산세가 부과되게 됩니다.


가맹정에 가입하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닙니다. 간단하고 간편하게 가입할 수 있는 4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신용카드 단말기 설치업체

영업장을 가지게 되면 신용카드 단말기를 설치하게 됩니다. 이때 단말기를 설치하고 현금 영수증 가맹점 가입신청을 합니다.


발급할 때는 단말기에 거래금액과 발급수단, 소득공제용 지줄증빙용을 입력하면 됩니다.


현금영수증 사업자 홈페이지 이용

토스 페이먼츠에 들어가 현금영수증 서비스 가입신청을 합니다. 발급은 토스페이먼츠에 로그인해 현금영수증 조회하고 별도 발급하기 선택합니다.


금용결제원에 들어가 현금영수증 회원가입을 합니다. 발급은 금융결제원에 로그인 한 후 현금영수증 – 현금영수증 승인요청 순서로 들어갑니다.


링크허브에 들어가 회원가입을 합니다. 발급은 로그인해서 들어가 현금영수즈증 선택하고 현금영수증 작성합니다.


국세상담센터 이용

홈택스 상담 126으로 전화합니다 – 1번 현금영수증 – 1번 한국어 – 4번 가맹점 현금영수증 발급 서비스 – 사업자번호 입력 10자리 – 1번 비밀번호 설정 시 본인인증 – 비밀번호 입력 4가리 – 1번 가맹점 가입 순서로 가입합니다.


발급은 홈택스 126으로 전화합니다. – 1번 현금영수증 – 1번 한국어 – 4번 현금영수증 발급 서비스 – 10자리 사업자번호 입력 – 4자리 비밀번호 입력 – 1번 현금영수증 발급 – 현금영수증 발급 수단 입력 – 거래금액 입력 + # – 소득공제용 또는 지출증빙용 선택 – 발급내역 음성안내


국세청 홈택스, 모바일 손택스 이용

홈택스 로그인 – 조회/발급 – 현금영수증 발급 – 현금영수증 발급 사업자 신청으로 가입합니다.
발급은 홈택스 로그인 – 조회/발급 – 현금영수증 발급 – 승인거래 발급 순서로 선택합니다.


손택스 로그인 – 조회/발급 – 현금영수증 발급 – 현금영수증 발급 신청 순서로 가입합니다.
발급은 손택스 로그인 – 조회/발급 – 현금영수증 발급 – 현금영수증 승인거래 발급 순서로 선택합니다.


현금영수증 의무발행 업종의 사업을 하는 사업자는 개업일, 업종추가일 등 요건 해당일로부터 60일 이내에 현금영수증 가맹점으로 기입해야 하며 미가입 시 불이익이 있습니다.


미가입 기간의 수입금액 X 1% 가산세 부과 (계산서 및 세금계산서를 발급한 거래금액은 가산세 부과 대상 수입금액에서 제외합니다)


추계과세 시 단순경비율 적용 배제

창업중소기업 세액감면 및 중소기업 특별세액 감면 배제


현금영수증 가맹점 가입 및 발급 시 혜택

직전 연도 사업장별 공급가액의 합계액이 10억원 이하인 개인사업자인 경우는 부가가치세 신고 시 연간 10백만원 한도 내에서 신용카드, 현금영수증 등 발행금액의 1.3%에 해당하는 금액에 대하여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개인사업자가 홈택스 전화 126으로 건벌 5천원 미만 거래의 현금영수증을 발급하는 경우 종합소득세 신고 시 산출세액 한도 내에서 발급 건당 20원에 대하여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현금영수증 의무발행 가맹점 스티커는 계산대, 계산대 근처, 사업장 출입문 입구 등 소비자가 잘 볼 수 있는 곳에 부착해야 하며 미부착 시 5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현금영수증 미발행 가산세

현금영수증을 발급하지 않을 경우는 미발급 금애긔 20%가 가산제로 부과됩니다.


상대방이 현금영수증 발급을 요청하지 않거나 현금영수증 가맹점이 신분을 인식하지 못할 경우는 국세청이 지정한 코드로 현금영수증을 자진 발급해야 합니다.

현금영수증 의무발행 업종

2010년 32개, 2021년 87개, 2022년 95개, 2023년 112개 업종이 해당됩니다. 현금영수증은 사업자의 적격 증빙으로 활용되며 소비자의 연말정산 소득공제에 적용됩니다.


2023년 1월부일부터 현금영수증 의무발행 업종이 된 곳은 다음과 같습니다.

사업서비스업의 행정사업, 숙박 및 음식점업 중 숙박공유업, 그 밖의 업종 중 가전제품 수리업, 가정용 직물제조 소매업, 가죽 가방 및 신발 수리업, 게임용구 인형 및 장난감 소매업, 구두류 제조업, 남자용 겉옷 제조업, 여장용 겉옷 제조업, 모터사이클 및 부품 소매업(부품판매업으로 한정), 시계 귀금속 및 악기 수리업, 운송장비용 주유소 운영업, 의복 및 기타 가정용 직물제품 수리업, 중고 가전제품 및 통신장비 소매업, 통신판매업 중 전자상고래 소매 중개업, 기타 통신 판매업입니다.


마무리

현금영수증 관련된 여러 정보들을 몇 차례에 걸쳐 확인해 보았습니다. 앞선 포스팅은 소비자 입장이었다면 이번 포스팅은 현금영수증 가맹점 가입 방법과 의무발행 업종 무엇이 있는지를 확인했습니다. 재화와 서비스를 판매할 예정이라면 온라인, 오프라인 관계없이 꼭 가입하시기 바랍니다.

현금영수증 하는 이유 등록 방법

네이버페이 현금영수증, 카카오페이 현금영수증

현금영수증 미발행 신고 방법과 포상금 얼마 받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