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과 아동의 애착장애 관련되어 여러가지를 알아보았습니다. 특히 성인이 된 후에 애착인형이 있다거나 하면서 고민하는 사람도 많은데 애착유형에도 여러가지가 있다고 합니다. 무엇에 애착 내지는 집착하는지 그 유형과 자신은 어떤 유형에 해당 되는지를 테스트 해 보시기 바랍니다.
아동 애착유형

안정형
안정적 애착 상태로 아이가 요구하는 것에 적절하게 피드백을 줄 수 있고 신뢰감을 주는 양육자, 보호자가 있기 때문에 잠시 자리를 비우거나 했을 때에도 다시 돌아올 것이라는 믿음이 있는 상태입니다.
아이와 보호자, 양육자가 안정된 애착 관계를 형성하면서 서로 안정된 관계를 맺고 자기 자신에게도 타인에게도 긍정적입니다.
불안, 무시형
아이가 요구하는 것이 있다면 양육자, 보호자가 반응을 하지만 항상 그 피드백이 일관적이지 않기 때문에 아이는 불안감을 느끼게 될 수 있습니다. 낯선 사람은 경계하고 양육자와 떨어지게 되면 스트레스를 많이 받게 됩니다.
아이가 돌아온 양육자에게 분노를 보이면 저항성, 무기력한 모습을 보이면 수동성으로도 나눌 수 있습니다.
회피형
아이가 어떤 요구를 해도 양육자, 보호자가 무관심하거나 강압적일 경우는 아이가 회피형이 될 수 있습니다. 회피형이란 자신의 의견이나 요구나 받아 들여지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어서 의사표현을 아예 하지 않고 양육자가 자리를 비웠다가 다시 돌아온다 해도 무관심하게 행동하게 됩니다.
이들은 분리불안이 없고 그렇다고 양육자와 친밀감도 없는 것처럼 보입니다.
혼란형
불안형과 회피형이 함께 있는 유형입니다.
성인 애착유형
영유아기, 아동기의 애착 형성과 애착 유형 등이 그대로 고착화 되어 성인이 되었을 때도 여러 상황에서 여러 모습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불안정애착은 내가 타인에게 관심을 가지게 되면 그만큼 그 상대방도 자신에게 관심을 가지고 표현해 주기를 바라는 유형입니다.
하지만 회피형애착은 사람들과 관계가 밀접해지고 가까워지는 것을 두려워하기도 하고 불편해하기도 합니다. 일정한 거리를 둔 인간관계를 원하는 사람입니다.
성인 애착유형은 4가지로 구분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는 아동의 애착유형과 거의 같아서 안정형, 불안형, 회피형, 공포-회피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안정형 애착
가장 바람직한 애착유형 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자기 자신에의 긍정과 타인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그로서 인간관계 또한 긍정적인 유형입니다.
새로운 관계를 맺는 것에도 유연하고 건강한 정신을 가진 유형으로 새로운 것에의 두려움이 없고 빨리 쉽게 친해질 수 있으며 그 관계 또한 오래 지속되게 됩니다.
친밀도와 위로와 위안을 서로 주고 받을 수 있는 인간관계를 만들어내는 사람들로 자존감도 높아 자신이 힘들 때 힘들다 할 수 있고 위로와 위안을 받을 줄 아는 사람입니다.
좋으면 직진하는 밀고 당기는 것 없는 사람으로 솔직하고 건강한 사람이며 상대방을 믿는 타입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너무 긍정적이기 때문에 가끔은 눈치없는 사람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불안형 애착
자존감이 약하고 자신을 믿지 못하는 타입니다. 그리고 자신을 믿지 못하는 만큼 남에게 의존하려는 의존도가 높습니다. 다른 사람들과 함께 있어야 안정감을 느낄 수 있는 애착유형 입니다.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혹시 버림받지는 않을까 하는 불안감에 타인에게 맞추려고 하고 애정을 구하고 확인받고자 하는 마음이 강합니다.
집착하는 스타일이라 생각하면 이해하기 쉬울 듯 한데요, 상대방이 안정형이라 함께 있으면서 이 불안형이 안정형에 맞춰갈 수 있을 것 같지만 이 유형은 안정보다는 불안감에서 오는 긴장이 풀리는 것에서 만족감을 느끼기 때문에 계속 불안감을 주는 애착유형인 회피형과 관계를 맺으려 합니다.
회피형 애착
애착유형 중 하나로 회피형이 있는데 이는 우선 남을 믿지 않습니다. 사람들과 관계를 회피하려는 유형으로 이는 어렸을 때 방임 또는 지나치게 독립적인 환경이었을 경우 또는 학대를 받았을 경우 형성되기 쉬운 유형입니다.
감정을 표출할 기회도 없었거나 기회를 얻지 못했거나 남을 믿었다가 배신을 당한 것이 크게 영향을 주어서 상황을 회피하게 된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남을 믿지 않고 의존하지 않는 성향이라서 자신이 힘들 때에도 누구를 의지하려 하지 않습니다. 혼자 견디고 넘어야 하는 것이라 여기게 됩니다.
자신을 쿨한 성향이라고 포장하는 사람으로 감정적인 사람은 미성숙한 사람이라 간주하기도 하지만 사실 이 사람은 겁이 많은데 그것을 표현하지 못하는 자존감 낮은 타입입니다.
그리고 부끄러움을 많이 타는 사람으로 자신의 감정을 그대로 드러내지 못하기 때문에 회피하는 유형입니다.
공포 – 회피형 애착
혼란형이라고도 하는 이 유형은 불안형과 회피형을 합쳐 놓은 유형으로 일반적으로는 가장 적은 유형이며 트라우마로 인해 나타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대인관계에 두려움을 느낄 정도이지만 또 누군가와 친해지고 싶어합니다. 즉 불안형의 특징인 누군가와 교류를 하고 싶어하는 성향과 그 사람이 나의 본 모습을 보면 나를 버릴거야 그러니까 관계를 맺으면 안된다고 여기는 회피형이 섞여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성인 애착유형 테스트 페이지를 링크하겠습니다.
마무리
저는 회피형 애착유형으로 나왔습니다.
불안정애착 회피, 거부회피형, 자기긍정, 타인 부정형으로 가까운 정서적 관계를 맺지 않고 지내는 것이 편안하고 독립심과 자기 중촉감을 느끼는 것이 나에게는 매우 중요하다.
남들에게 의지하거나 남들이 나에게 의지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고 풀이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나의 회피형 유형의 극복방법은 피하지 말고 실패해도 괜찮으며 과거를 놓아주자라는데요, 말처럼 쉬우면 고생하지 않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