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누군가가 이 세상을 떠나게 되면 빈소를 차리고 초상을 치루고 또 3일장, 5일장, 발인, 49재 등 평소에 잘 접하지 않는 단어를 듣게 됩니다. 그 중 삼우제 뜻 절차 시간 그리고 상차림은 또 따로 있는지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삼우제 뜻
사실 요즘은 상조회사에서 다 알아서 해주기 때문에 굳이 몰라도 된다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모르면 호구 됩니다. 그리고 최소한의 우리나라 풍습이며 누군가를 떠나보내는 하나의 절차로서 기본은 알아두어야 할 것입니다.

우제
초우제, 재우제, 삼우제를 합해서 부르는 말로 돌아가신지 얼마 되지 않은 고인의 영혼이 편안하게 계시도록 안정 시켜 드리는 의미로 지내게 됩니다.
초우제
고인을 매장 또는 화장하고 집에 돌아온 날 당일의 제사입니다.
재우제
다음날 또는 그 다음날 지냅니다. 이것은 하루씩 번갈아 가면서 음의 날, 양의 날이 있어 음의 날에 재우제를 지냅니다. 요즘은 음의 날, 양의 날과 관계없이 초우제 다음날입니다. 하지만 사실 초우제와 재우제 자체를 모르는 경우가 더 많다고 볼 수 있습니다.
삼우제
재우제 다음날입니다.
아주 간단하게 보자면 고인을 매장, 화장 하고 나서 3일 째 되는 날 지내는 것이 옛날 법도입니다.
이 날은 고인을 모신 곳을 찾아 별 이상은 없는지 직접 찾아뵙고 확인하게 됩니다.
요즘은 초우제, 재우제는 거의 들어본 적이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 날과 함께 49재는 아직도 많이 챙기고 계십니다.
삼오제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만 석 三(삼), 근심할 虞(우), 제사 祭(제)를 써서 삼우제라 하는 것이 맞습니다. 발인 3일째 지내는 것입니다.
삼우제 상차림
옛날에는 발인 후 3일 되면 봉분에 문제가 없는지, 잔디는 잘 입혀졌는지를 확인하러 직접 찾아 뵈어야 했습니다. 그리고 그 곳은 대부분 산이었습니다. 그래서 음식을 아주 푸짐하게 준비하지는 않았습니다.
간단하게 술, 떡, 포, 전을 아주 조금씩 그리고 고인이 좋아하셨던 음식을 준비하는 것도 좋습니다. 하지만 아무리 좋아하셨다 해도 복숭아나 팥 등을 올리면 안되겠죠?
사실 요즘 이 날을 챙기는 이유 중 하나는 탈상을 하기 위해서입니다.
옛날처럼 3년 탈상을 할 것도 아니기 때문에 돌아가신 후 묘지나 화장을 하고 난 후 봉안당 등에서 탈상을 하면서 같이 지내는 경우도 많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일반적으로 삼우탈상이라는 말은 장례가 끝난 후 3일째 되는 날, 발인날까지 세서 3일째 되는 날 탈상하는 것을 말합니다.
삼우제 시간
돌아가신 후 3일째 되는 날 오전 11시 쯤에 지내는 것이 보통입니다. 원래는 돌아가신 후 장례를 치르고 난 후 3일 째 되는 날입니다.
만약 8월1일에 돌아가셨고 3일장을 치루게 된다면 3월 3일 발인하는 날이 초우제, 그 다음날 8월4일이 재우제, 8월5일이 삼우제 시간 됩니다.
옷차림은 검은 정장으로 충분합니다.
마무리
옛날에 비해 간소하고 간단하게 변하긴 했지만 돌아가신 분을 생각하는 슬픔과 마음이 덜해지진 않았을 겁니다. 다만 생활에 바쁘기에 모든 것을 다 챙길 수는 없어 돌아가신 날부터 해서 5일째가 되면 모든 장례 절차가 끝나게 됩니다. 이때 알아두셔야 할 삼우제 뜻 절차 시간 상차림 간단하게 살펴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