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구멍이 아플 때 입 크게 벌리고 입 구석구석을 훑어보는데 한 번 씩 편도가 아닌 부분이 이상하게 느껴질 때가 있습니다. 그 중 목젖 부었을 때 치료법 5가지와 원인 그리고 이런 목젖 부음 증상이 어떤 질병과 연관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젖

입천정에서 목구멍 쪽으로 넘어가는 부분에 아래로 처져 있는 살덩어리입니다. 편도는 이 목젖 양 옆에 있습니다. 한자어로는 구개수라고 하며 이 목젖의 윗부분은 연구개라고 하는 입천정 제일 안쪽의 부드러운 조직입니다.
목젖은 도대체 무슨 역할을 하는 걸까요?
그냥 목구멍에서 바로 식도, 기도 이렇게 넘어가지 않고 중간에 달랑달랑 살덩어리 하나가 있는 이유가 있을 듯 합니다. 사람 몸은 신기하게도 별 쓸모 없는 것은 없이 서로 기능을 보완해가면서 너무 정밀하게 만들어져 있으니까요.
목젖의 역할
입에서 목으로 넘어가는 그 길에는 음식물이 지나가는 식도와 공기가 지나가는 기도가 함께 모이는 부분이 부분이 있습니다.
목젖은 그 길에서 잘못 넘어가지 않도록 돕고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기도로 음식물이 넘어가거나 식도로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해 주는 기능을 합니다.
우리가 음식을 삼킬때는 목젖이 수죽하면서 코와 목 사이를 나눠주고 음식이 코로 역류하지 않도록 해 줍니다.
목젖이 늘어지게 되면 기도가 막혀서 코콜이가 심해지게 됩니다. 사람이 잠을 잘 때, 누우면 근육이 풀어지는 편이기 때문에 목젖 또한 늘어지면서 기도를 막게 되고 그러면 사람은 숨을 쉬기 위해 힘을 들이게 되는데 이때 호흡기계 구조물이 떨리면서 소리를 내게 됩니다. 이게 바로 코골이 입니다.
수면 무호흡증은 숨을 들이 마실 때 기도의 구조물 즉 목젖이나 그 위의 연구개까지 빨려 들어가면서 기도를 막기 때문에 생기게 되는 현상입니다.
그래서 코골이가 심하거나 수면무호흡증이 심한 경우에는 목젖제거술을 하기도 합니다. 이 수술은 목젖일부 또는 전체를 제거해서 기도를 넓혀 주는 것이지만 수술 후 음식물이 코로 역류할 수도 있으며 건조와 구강 통증 등의 부작용도 있을 수 있습니다.
목젖 부었을 때 원인
목에서 위화감과 이물감이 느껴질 때가 있습니다. 뭔가 까끌까끌한 것 같기도 하고 목구멍이 꽉 막힌 것 같은 느낌이 들어 거울로 확인해 보면 목구멍이 빨갛게 변해 있을 때도 있고 목젖이 부어 있을 때도 있습니다.
이중 목젖 부음 원인은 무엇일까요?
물론 그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물리적 접촉이나 위산 또는 어떤 약을 먹었을 때의 자극, 건조, 바이러스 감염, 세균감염, 알레르기, 종양 등이 대표적입니다.
저 또한 코로나 걸렸을 때 가장 심했던 것이 목의 통증이었습니다.
목젖 부음은 인후염일 확률이 가장 높습니다. 또는 임파선염, 편도선염의 확률도 높은 편입니다. 이 세가지 모두 거의 증상은 비슷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며칠간 무리를 했거나 계속 된 피로감
자극적인 음식
무리하게 목을 사용
음주
구강호흡
특히 무리한 운동 후의 음주가 원인이 되기 쉽습니다.
목젖 부었을 때 증상
평소 자신의 목젖을 잘 살펴보지 않았다면 못 느낄 수도 있지만 평소보다 좀 커져 있습니다.
혀 뒤쪽에서 이물감이 느껴집니다
자세를 바꾸면 이물감이 느껴지는 위치도 다르게 느껴집니다.
코골이가 심해집니다.
통증은 거의 느껴지지 않겠지만 인후염, 임파선염, 편도염이 함께 있으면 통증이 있습니다.
목젖 부었을 때 치료법
목젖염
목젖 부었을 때 그냥 방치하거나 자주 반복되거나 또는 그 원인의 정도가 심해지면 목젖에 염증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이 때는 열도 나고 호흡이 좀 힘들게 느껴지면서 음식을 삼키는 것도 통증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목젖염의 경우는 목젖 부었을 때 원인도 물론 있지만 바이러스의 침입이 있을 수 있었으므로 통증이 심하면 병원에서 진찰 후 약을 복용하면 좋습니다.
따뜻한 물, 따뜻한 차 마시기
목이 건조해지면 통증이 더 심해지고 더 잘 붓습니다. 온도와 습도조절이 중요하므로 따뜻한 물을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감기인 것 같다 싶거나 하면 생강차도 효과적이며 달지 않은 도라지차도 도움이 됩니다.
소금물 가글
목이 아플 때는 소금물로 가글을 해 주면 예상외로 빨리 낫습니다. 굵은 소금을 조금 진하게 녹여서 가글을 해 보세요.
비타민C 섭취
편도염, 인후염, 임파선염 모두 염증입니다. 염증은 면역력이 떨어지면 더 심해집니다. 그리고 바이러스의 침입으로 염증이 생길 수 있으니 수시로 비타민C를 섭취합니다.
부드러운 음식물 섭취
목젖 부었을 때 또는 목이 아플 때는 음식물을 삼키는 것도 고역입니다. 이런 경우는 부드러운 유동식을 섭취해야 합니다. 만약 통증 뿐만 아니라 목이 뜨겁다고 느껴지는 경우에는 아이스크림도 꽤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총정리
목젖 부었을 때 통증이 없다면 휴식을 취하고 따뜻한 물로 온도와 습도를 맞춰주는 정도로 빨리 그리고 충분히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그냥 방치하거나 그 원인을 더 심하게 만들지 마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