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뱅킹 하고 계신가요? 요즘은 뱅킹업무는 주로 스마트폰으로 인증서를 꼭 거치지 않고도 하지만 또 이런 인증서가 필요한 경우가 있기는 하더라구요. 그런데 금융인증서 공동인증서 차이 뭐가 다른걸까요? 간편인증도 있고 요즘은 뭐가 종류가 많더라구요.
금융인증서 공동인증서

이전에는 사실 공인인증서가 필요했었습니다. 별로 오래전 일도 아닌데 굉장히 옛날 일 같긴 합니다. 요즘은 공인인증서라는 말보다는 금융인증서 공동인증서 그리고 간편인증 이런 단어가 더 많이 보입니다.
공인인증서는 2020년 12월 폐지 되었습니다. 여러가지 문제가 많긴 했었고 그래서 주변에는 인터넷뱅킹은 못 믿겠다면 그때까지는 꽤 은행을 직접 가는 사람도 많았지만 요즘은 코로나 이후로의 변화일 수도 있겠지만 거의 모든 사람이 스마트폰으로 은행 업무부터 그 외의 결제 업무를 다 하고 있습니다.
금융인증서 공동인증서 차이 – 금융인증서
공인인증서 발급하던 금융결제원에서 새롭게 만들어 낸 인증서로 기존의 공인인증서, 현재의 공동인증서의 단점을 나름 보완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기존의 공인인증서 유효기간은 1년이었으며 이 금융인증서는 3년간이며 또한 이용자가 굳이 또 발급 받고 갱신할 필요 없이 자동 갱신 되고 있습니다.
금융인증서 공동인증서 차이 중 하나가 바로 인증서 보관주체인데요, 금융인증서는 개인이 보관하지 않아도 됩니다. 금융결제원의 클라우드에 저장되어 있어 개인이 보관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만큼 분실 걱정도 없고 암호를 잊어버릴 걱정도 없습니다.
보안프로그램도 없어고 암호도 없어서 이름과 본인 명의의 전화번호, 생년월일만 있으면 됩니다.
다만 아직은 공동인증서를 사용하는 곳이 더 많습니다. 금융인증서가 좀 늦게 나왔기 때문인데요, 앞으로 좀 더 사용할 수 있는 곳이 점점 더 늘어나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금융인증서 공동인증서 차이 – 공동인증서
이전의 공인인증서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공인인증서는 금융결제원과 6개 공인인증기관에서만 발급할 수 있었으며 이렇게 공인된 기관의 인증서라는 의미로 공인인증서라는 이름으로 불렸습니다. 이것이 폐지되면서 공동인증서라는 이름으로 바뀐 것이라 생각하면 됩니다.
온라인으로 전자 서명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직접 PC, 휴대폰, USB 등 여러 기기에 저장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전의 공인인증서처럼 PC에서 스마트폰으로 스마트폰에서 PC로 또 USB 등으로 내보내기, 복사하기 할 수도 있습니다.
유효기간은 1년이며 금융인증서 공동인증서 차이 중 하나가 이것입니다. 금융인증서는 3년의 유효기간과 자동갱신이 되는 반면 공동인증서는 1년의 유효 기간이 되면 사용자가 매년 갱신해야 합니다.
또한 공동인증서 경우는 공인인증서와 마찬가지로 PC 보안프로그램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며 영문과 숫자, 특수 문자로 이루어진 10자리 암호가 필요합니다.
이전의 공인인증서처럼 대부분의 은행, 공공기관, 정부 사이트 등에서 다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금융인증서 공동인증서 차이 – 민간인증서
정부로부터 인증서 발급 자격을 갖췄다고 인정받은 곳에서 발급하고 있는 것으로는 민간인증서가 있습니다. 네이버와 통신3사 그리고 토스와 여러 금융기관 등에서 발급하고 있습니다.
은행업무를 볼 때 이전에는 모두 똑같은 공인인증서 지금의 공동인증서를 사용하면서 한 은행에서 발급 받으면 그것을 다른 은행 업무 보기 전에 미리 등록을 해야 했습니다.
지금은 이렇게 인증서 하나를 여러 은행에 등록시킬 필요가 없습니다. 그리고 비밀번호와 함께 꼭 필요했던 보안토큰이나 스마트카드등이 필요했지만 지금은 그런 것도 필요 없습니다.
각각 은행 어플을 이용하게 될 때 그 은행들이 자체적으로 발급한 인증서들이 있고 클라우드에 저장되어 있어 우리는 굳이 비밀번호 등을 입력하지 않아도 됩니다.
민간인증서를 간편인증이라고 할 수도 있는데요 대표적으로는 카카오톡, NH인증서, 네이버, 하나인증서, 뱅크샐러드, 토스, 통신사PASS, 삼성패스, 페이코, 국민인증서, 신한인증서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따로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도 없고 생체 인증으로 지문도 사용할 수 있으며 6자리 간편비밀번호 또는 패턴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마무리
금융인증서 공동인증서 차이 그리고 여기에 하나 더 민간인증서까지의 차이점은 무엇인지를 확인해 보았는데요, 거의 대부분 요즘 저는 민간인증서를 사용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